약선식품

부추의 효능과 먹는법

sunny_k 2017. 3. 23. 07:30

부추의 효능과 먹는법



성미 : 성질은 따뜻하고 맛은 맵다.

귀경 : 신장경, 위경, 폐경, 간경으로 들어간다.



<효능>

신장의 양기를 보하고 중초를 따뜻하게 하며 기운을 잘 통하게 하며 혈전을 풀어주고 해독작용이 있습니다.


<적응증>

몸이 찬 체질이나 양기가 약하여 추위를 많이 타고 허리다리가 시고 아프며 양위, 유정, 조루, 요실금, 빈뇨에 적합하며 부인들의 아랫배가 차고 출산 후 몸이 차면서 모유가 잘 안나오는데 효과가 있습니다.

넘어져 다쳐 멍이 들었거나 토혈, 변혈에 효과가 있으며 열격(음식물이 잘 내려가지 않는 증상)에 효과가 있으며 대변이 건조하거나 습관성변비에 좋고 암증 특히 식도암, 위암에 효과가 있습니다.


<배합의기>

1. 주로 새우, 조개, 돼지고기와 배합하면 성질이 중화되어 어떤 체질에도 무난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양기가 부족하여 양위나 유정, 조루, 요실금 등에는 호두를 배합하여 참기름에 볶아 먹으면 좋습니다.

3. 식도암이나 식도염증에는 부추즙에 우유와 생강즙을 배합하면 좋습니다.

4. 부추는 소고기나 꿀과는 배합하면 좋지 않다고 합니다.

5. 부추는 마늘과 파와 같은 성질로 꿀과는 상반되는 성질입니다. 그러므로 동시에 섭취하면 좋지 않습니다. 또한 부추에 들어있는 비타민C도 꿀 속에 들어있는 광물질양화로 잃게 되고 그 밖에 꿀은 미끄러운 성질로 위나 장을 잘 통하게 하는데 부추도 섬유질이 많아 변비를 해소하는 작용이 있어 동시에 섭취하면 복통설사가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6. 부추와 술은 두가지 다 열성이 강하고 혈액순환을 시키는 작용이 강하여 상화를 일으키고 혈액을 움직여 출혈성질환이 있는 사람은 더욱 주의하여야 합니다.


<주의사항>

음허화왕자는 좋지 앟으며 눈이 붉게 충혈되고 안과질환이 있으며 창독 또는 종기등이 있거나 가려움증이나 종통이 있는 사람은 좋지 않습니다. 위궤양이나 십이지장궤양, 간경화, 위저정맥곡장이 있는 사람은 먹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약선응용> 먹는법

1. 부추호두볶음 : 부추, 호두를 넣고 참기름에 볶아 먹는다. 추위를 많이 타고 허리와 다리가 시며 유정이나 몽정이 있는 사람에게 좋습니다.

2. 부추생강우유즙 : 부추와 생강을 갈아서 즙을 만들어 유유와 함께 약간 끓여서 마신다. 비허간울에 의한 결장염이나 구토증상이 있거나 음식물이 내려가지 않을 때 마시면 효과가 있습니다.

3. 부추조개볶음 : 부추, 조갯살, 올리브유, 소금, 후추를 넣고 볶는다. 음허도한이나 폐결핵에 효과가 있습니다.

4. 부추해삼죽 : 부추, 해삼, 쌀, 참기름, 소금을 넣고 죽을 끓인다. 비신양허로 인해 배가 차고 소화가 되지 않으며 모든 신양허증상에 효과가 있습니다.

5. 부추저신볶음 : 돼지신장의 막을 제거하고 부추와 함께 볶아 먹는다. 신장이 약해서 허리가 아플 때 효과가 좋습니다.

6. 부추홍합볶음 : 부추와 홍합을 볶아서 먹는다. 간신부족으로 인한 여러가지 증상에 효과가 있습니다.

7. 부추돼지간볶음 : 부추, 저간, 간장, 설탕, 전분물, 돼지기름, 식초, 맛술, 소금, 돼지기름을 녹여 끓이다 돼지 간을 넣고 하얗게 될 때까지 튀겨서 꺼내 부추와 함께 볶다 양념을 넣어 완성한다. 눈이 건조하거나 야맹증이 있을 때 또는 입술궤양, 혀에 염증이 있을 때 효과가 있습니다.



* 송나라 명의 구종백은 "부추는 봄에 먹으면 향이 나고 여름에 먹으면 냄새가 고약하다."라고 하엿으며 민간에서도 "봄에는 향이 나고 여름에는 매우며 가을에는 쓰고 겨울에는 달다."라고 합니다.

따라서 봄에 먹으면 가장 좋습니다.

부추는 질산염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데 볶아서 익힌 후 오래두면 아질산염으로 전화되어 먹으면 거부감이 나타기도 합니다. 부추는 통변작용이 있으며 장의 지성물질을 흡수하여 다이어트 효과가 있으며 휘발성 효소를 함유하고 있어 면역세포를 활성화 시키는 효능이 있어 암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